웰라이프

60대 이상은 커피 마셔도 변비 걱정 없다... 고령자일수록 카페인 효과 더 뚜렷

 영국 데일리메일이 보도한 최신 연구에 따르면, 하루 커피 한 잔 정도의 카페인 섭취가 만성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시위안병원 연구팀은 미국 성인 1만 2759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2005~2010년 데이터를 분석해 카페인 섭취량과 소화기 질환 간의 관련성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하루 약 100mg의 카페인(커피 한 잔 분량)을 섭취한 사람들은 만성 변비 위험이 18~20%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만성 변비는 주 3회 미만의 배변, 배변 시 심한 힘줌, 잔변감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고령자에게서 카페인의 변비 완화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카페인이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해 배변 활동을 촉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특히 고령층에게 적절한 카페인 섭취는 약물 없이도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모든 카페인 섭취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 204mg 이상의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오히려 변비 위험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카페인의 이뇨 작용이 탈수를 유발해 장 운동에 필요한 수분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분이 부족해지면 변이 딱딱해져 배변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흥미롭게도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고카페인 섭취가 오히려 변비 위험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연령대에 따라 카페인이 소화기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카페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약물 치료 없이도 변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동시에 "카페인은 혈압과 심박수를 높일 수 있는 자극제이므로 심혈관 질환이 있는 이들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 후 섭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카페인의 적절한 섭취가 소화기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약물 치료 없이도 일상적인 카페인 섭취를 통해 만성 변비를 관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다학제 보건 저널(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