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SKT 해킹 후속 조치 '삐걱'..유심 재고 100만 개 '턱없이 부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SKT로부터 제출받아 27일 공개한 답변서에 따르면, SKT가 현재 보유한 유심 재고는 100만 개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SKT는 5월 중 약 500만 개를 추가 확보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이는 전체 가입자 수 2300만 명의 절반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수량이다.
SKT는 28일부터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유심 무상 교체를 시작할 예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전국 지점과 대리점별 유심 재고 보유 현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아, 유심 교체를 원하는 가입자들은 직접 각 대리점에 전화하거나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최민희 위원장은 "당장 내일 오전부터 극심한 혼란이 예상되는 만큼 SKT는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위원장은 또한 "SKT 가입자 수 절반에도 채 미치지 못한 SKT의 유심 발주량은 해킹 사고로 인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데 턱없이 부족한 수량"이라며 SKT의 미흡한 준비를 강하게 비판했다.

앞서 SKT는 지난 18일 해킹 사고를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뒤늦게 신고하고, 사고 발생 일주일이 지나서야 유영상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들이 대국민 사과에 나서는 등 초기 대응이 늦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유심 재고 부족 사태는 이러한 늑장 대응 논란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정부도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및 유심 교체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하며 정부 차원의 관리 감독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SKT의 유심 무상 교체 계획이 재고 부족과 시스템 미비라는 난관에 부딪히면서, 해킹 사고로 인한 고객들의 불안감 해소는 물론 원활한 유심 교체 서비스 제공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SKT가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어떤 추가적인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